![]() |
||
4월26일 홍콩체육관에서 열린 개막식에는 1만여명의 불자가 참가해 체육관을 가득 메웠다. |
중국불교협회(회장 추안인스님)와 홍콩불교연합회(회장 쥐에광스님), 중화종교문화교류협회(회장 왕쪼안)는 오늘(4월26일) 오전8시30분 홍콩체육관에서 제3차 세계불교포럼 개막식을 봉행했다.
개막식은 헌향, 헌화, 인사말, 개막 이벤트, 축사, 세계적인 불자가수 왕페이의 ‘반야심경노래’ 공연, 폐막 등으로 진행됐다.
![]() |
||
조계종 중앙종회의장 보선스님이 총무원장 자승스님을 대신해 개막식 축사를 하고 있다. |
총무원장 자승스님은 “지금 세계가 처한 난관과 사회적 문제는 개인의 문제가 아닌 모두의 문제”라고 전제한 뒤 “변화의 흐름 속에 불교의 역할과 책임을 다시금 되돌아 봐야할 시점”이라고 강조했다.
총무원장 스님은 이어 “이제 부처님의 가르침은 개인의 깨달음의 종교로 국한된 것이 아니라 사회적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 실천적 종교로써 세계가 함께 탐구해야 할 진리의 가르침으로 널리 전파하는데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”이라고 제안했다.
총무원장 스님은 오는 6월11일부터 16일까지 전남 여수에서 열리는 WFB한국대회에 참가자들을 초청하며 축사를 마무리지었다.
![]() |
||
홍콩체육관에서 열린 세계불교포럼 개막식에서 주요 내빈들이 화합의 길로 함께 나아가길 발원하며 개막 기념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. |
반기문 UN 사무총장은 왕쪼안(王作安) 중화종교문화교류협회장이 대독한 축하메시지에서 “UN은 전 세계가 당면한 각종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으며 화합과 평화를 강조하는 불교적 가르침이 문제해결에 큰 도움이 될 것”이라며 전 세계불교계의 협조를 당부했다.
중국불교협회장 추안인(傳印)스님은 개막식 인사말에서 “부처님의 가르침을 가슴깊이 새겨 이 사회가 조화롭고 평화로워 질 수 있도록 이번 포럼에서 지혜를 모아 나가자”고 제안했다.
![]() |
||
한중불교문화교류협회장 영담스님이 홍콩 리갈호텔에서 열린 분과토론에서 발표하고 있다. |
한중불교문화교류협회장 영담스님(조계종 총무부장)은 ‘중국불교의 저력과 현대적 홍법의 상관성’이라는 주제로 한 분과토론 발제를 통해 한중 불교의 오랜 우호관계를 설명한 뒤 불교의 황금유대를 실현하기 위해 3가지를 제안했다.
영담스님은 한중수교 20주년인 올해 육조 혜능스님 등신불이나 김교각스님 등신불의 한국방문과 더불어 황금유대의 상징으로써 해인사 팔만대장경 복각본(復刻本)의 한중일 삼국 분산 봉안을 제시했다.
![]() |
||
세계불교포럼에 참가한 한국불교대표단이 합장한 채 의식에 동참하고 있다. |
조계종 사회부장 혜경스님은 ‘불교자선의 이념과 실천’을 주제로 한 발제를 통해 조계종의 사회복지활동과 5대 결사를 설명한 뒤 불교의 자선활동을 전세계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.
혜경스님은 “최근들어 서구인들에게 사상적으로 불교가 전파되는 것에 비해 불교인의 자선활동은 부족한 실정”이라며 “불교가 명실상부하게 전 세계인을 이끌어가는 종교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자선활동을 전 세계적으로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”고 주장했다.
![]() |
||
세계불교포럼에 참가한 각국 출가수행자들이 중국사찰공양을 체험하고 있다. |
이밖에도 조계종 총무원장 국제특보 진월스님이 ‘글로벌 시대 남북전불교의 발전과 사명’, 태고종 총무부장 능해스님이 ‘불법홍포의 현대적인 모델’, 진각종 문화사회부장 덕정정사가 ‘다음 세대를 위해 전승돼야 할 불교의 가르침’을 주제로 각각 발제했다.
또한 한중불교문화교류협회장 영담스님과 중국불교협회 부회장 쉐청(學誠)스님, 일중한국제불교교류협회단장 고바야시 류쇼스님 등이 ‘황금유대에 관하여’라는 주제로 한중일 TV토론을 갖고 한중일 3국 간의 우호선린관계를 강화해 나가자는데 뜻을 같이 했다.
![]() |
||
세계적인 가수 왕페이는 반야심경을 노래로 불렀다. |
![]() |
||
개막식에서 중국 스님들이 스탠드를 가득 채웠다. |